아마르가사우루스(Amargasaurus)는 백악기 전기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역에서 서식했던 특이한 형태의 초식성 용각류 공룡입니다. 가장 큰 특징은 목과 등에 솟은 이중의 척추 가시 구조로, 이 구조의 용도에 대한 다양한 추측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몸집은 비교적 작고, 그 독특한 외형 덕분에 학문적, 대중적 모두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공룡입니다.
1. 기본 정보
아마르가사우루스(Amargasaurus cazaui)는 중생대 백악기 전기(약 1억 3천만 년 전), 현재의 아르헨티나 지역에서 서식했던 초식성 용각류 공룡입니다. 속명 ‘Amargasaurus’는 화석이 발견된 아르헨티나의 ‘라 아마르가(La Amarga)’ 지층에서 유래하며, 종명 ‘cazaui’는 해당 지역에서 연구를 진행한 지질학자 Luis Cazau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습니다.
이 공룡은 1991년 호세 보나파르테(José Bonaparte) 박사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디플로도쿠스과(Diplodocoidea)에 속하는 디카에오사우루스류(Dicraeosauridae) 공룡으로 분류됩니다. 긴 목과 꼬리를 가진 전형적인 용각류의 형태를 가지면서도, 비교적 짧은 몸길이와 특이한 척추 구조를 지닌 점이 독특합니다.
아마르가사우루스의 몸길이는 약 9~10미터, 체중은 약 2~3톤으로 비교적 소형 용각류에 해당합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목과 등에 줄지어 솟은 높은 신경돌기(척추 가시) 구조로, 일부는 60cm 이상 길게 뻗어 있습니다. 이 구조는 외부 보호, 체온 조절, 혹은 시각적 위압감을 주는 용도로 제안되어 왔습니다.
전체적인 실루엣은 매우 독특하며, 아르헨티나에서 출토된 거의 완전한 골격 덕분에 지금까지 가장 잘 알려진 디카에오사우루스류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학명: Amargasaurus cazaui
뜻: 아마르가의 도마뱀
발음: 아-마르-가-사우루스 카자우이
명명자: José Bonaparte – 1991년
분류: Dinosauria → Sauropoda → Diplodocoidea → Dicraeosauridae
식성: 초식성 – 낮은 관목이나 양치식물 등 섭취
2. 생태 및 특징
아마르가사우루스는 전형적인 용각류와 달리, 작고 날렵한 체형과 특이한 목 구조를 가진 공룡입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목과 등 위에 줄지어 솟아 있는 이중의 신경돌기(가시) 구조로, 길이는 60cm 이상에 이르며, 등뼈를 따라 정렬되어 있습니다.
이 가시 구조의 용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학설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 설은 피부막이 연결된 '지느러미형 볏'으로, 시각적 위압이나 종 간 구별, 짝짓기 경쟁에서의 과시 구조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가시 자체가 무기화된 '방어 구조'로, 포식자의 공격을 막거나 타격을 가할 수 있는 역할을 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기타 학설로는 체온 조절 기능도 거론되며, 긴 신경돌기를 통해 피하지방층에 혈관이 분포되어 외부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였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구조물의 표면 흔적에서 막 연결 부위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아, 현재까지도 이 부분은 논쟁 중입니다.
기본적으로 아마르가사우루스는 낮게 자란 양치식물이나 관목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목이 짧고 앞다리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다른 대형 용각류보다 낮은 지면에서 먹이를 섭취하는 데 유리한 체형이었습니다. 긴 꼬리는 균형을 유지하고 천천히 움직이는 데 유리하며, 민첩하진 않지만 강인한 생존 전략을 가졌던 것으로 보입니다.
항목 | 내용 |
몸길이 | 약 9~10미터 |
체중 | 약 2~3톤 |
보행 형태 | 네 발 보행 (Quadrupedal) |
주요 특징 | 목 위로 솟은 이중 신경돌기, 낮은 머리, 긴 꼬리 |
식성 | 초식성 – 저지대 양치식물, 관목 |
서식지 | 백악기 전기 파타고니아 지역 |
3. 분류 논쟁과 학술적 중요성
아마르가사우루스는 디카에오사우루스과(Dicraeosauridae)에 속하는 용각류 공룡으로, 이 계통 내에서도 가장 독특한 형태의 신경돌기를 가진 종입니다. 디카에오사우루스과는 디플로도쿠스과의 일부로, 일반적인 대형 용각류보다 몸집이 작고 목이 짧은 특징을 갖습니다.
아마르가사우루스의 두드러진 이중 신경돌기 구조는 디카에오사우루스류 중에서도 유일하며, 이 구조의 해석을 두고 진화적 기능과 생물학적 기원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어져 왔습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 구조가 같은 과에 속하는 Dicraeosaurus와 Brachytrachelopan의 신경돌기보다 훨씬 과장된 형태라는 점에 주목합니다.
초기 연구에서는 이 가시 구조를 '피부막으로 연결된 장식용 지느러미'로 보았지만, 현재는 골질 구조만 존재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점은 피부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외부 구조보다도 내부 척추 강화용일 수 있다는 주장도 존재합니다.
아마르가사우루스는 거의 완전한 골격이 발견된 덕분에 디카에오사우루스과의 해부학적 기준점으로 활용되며, 용각류의 다양성과 형태 진화에 대한 연구에서도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합니다. 특히 거대 용각류의 일반적 이미지와는 다른, 작고 방어적인 전략을 택한 용각류로서 진화적 경로의 다양성을 상징하는 종입니다.
● 최초 분류: 1991년 José Bonaparte 박사에 의해 명명
● 현재 위치: Sauropoda → Diplodocoidea → Dicraeosauridae
● 논쟁 포인트: 신경돌기의 용도, 지느러미 존재 여부
● 진화적 의의: 방어형 용각류 진화 경로, 디카에오사우루스과 기준 화석
● 비교 대상: Dicraeosaurus, Brachytrachelopan, Diplodocus
4. 화석과 발견 정보
아마르가사우루스의 화석은 1984년 아르헨티나 네우켄 주(Neuquén Province)의 라 아마르가 지층(La Amarga Formation)에서 수집되었으며, 이는 백악기 전기(약 1억 3천만 년 전)의 퇴적층입니다. 해당 지역은 다양한 소형 용각류와 초식성 공룡 화석이 풍부하게 출토되는 고생물학적 핵심 지대입니다.
표본은 한 개체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며, 두개골을 제외한 대부분의 골격이 거의 완전한 상태로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목과 등뼈 부분은 독특한 이중 신경돌기 구조가 매우 잘 보존되어 있어, 해당 구조의 기능과 생김새를 해석하는 데 결정적인 자료가 되었습니다.
해당 표본은 아르헨티나 자연과학박물관(Museo Argentino de Ciencias Naturales, MACN)에 보관되어 있으며, 등록번호는 MACN-N 15입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디카에오사우루스과 공룡 중 가장 완전한 형태의 골격으로, 분류학적 기준 화석(type specimen)으로 활용됩니다.
아마르가사우루스의 화석은 이후 다양한 복원도와 모형 제작에 사용되었으며, 중생대 남반구에서의 용각류 진화 및 생물다양성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주요 발견지: 아르헨티나 – 라 아마르가 지층, 네우켄 주
● 지질 시대: 백악기 전기 (약 1억 3천만 년 전)
● 출토 표본: 두개골 제외한 거의 전체 골격, 신경돌기 완전 보존
● 보존 상태: 매우 양호 – 기준 표본 수준
● 보관 기관: 아르헨티나 자연과학박물관 (MACN)
● 화석의 중요성: 디카에오사우루스과 기준 골격, 형태 진화 연구 핵심
5. 마무리
아마르가사우루스는 중생대의 용각류 중에서도 가장 독특한 외형을 지닌 공룡 중 하나로, 그 외형만으로도 대중의 주목을 받기에 충분합니다. 이중으로 솟은 척추 가시는 단지 시각적 특징을 넘어서, 고생물학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다양한 진화적 시나리오를 검토하게 만드는 핵심 단서입니다.
아르헨티나에서 거의 완전한 골격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디카에오사우루스과 연구의 기준이 되었으며, 남반구 용각류의 진화사 및 생태계 복원 연구에서도 필수적인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작지만 강한 생존 전략을 가진 이 공룡은, 용각류의 이미지에 다양성과 예외성을 더해주는 존재라 할 수 있습니다.
6. 참고 문헌 및 원문 링크
1) Wikipedia – Amargasaurus https://en.wikipedia.org/wiki/Amargasaurus
2) Prehistoric Wildlife – Amargasaurus https://prehistoric-wildlife.com/species/a/amargasaurus.html
3) DinosaurPictures.org – Amargasaurus Gallery https://dinosaurpictures.org/Amargasaurus-pictures
4) Bonaparte, J. (1991). "The early evolution of sauropod dinosaurs based on evidence from Patagonia." *Historical Biology*.
5) Dinopedia – Amargasaurus https://dinopedia.fandom.com/wiki/Amargasaurus
6) Wikimedia Commons – Amargasaurus Fossil Photos https://commons.wikimedia.org/wiki/Category:Amargasau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