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백(Clawback)"은 기업이 임직원에게 지급한 성과급이나 보상을 일정 조건 하에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영진의 과실, 회계 부정, 내부 통제 실패 등과 같은 도덕적 해이기업 손해가 발생했을 경우, 이미 지급된 성과급을 다시 돌려받는 제도로 활용됩니다. 최근 ESG 경영, 내부통제 강화와 함께 각광받는 제도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1. 클로백(Clawback) 뜻

 

"클로백"은 경영성과에 따라 임직원에게 지급한 보상을 나중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시 회수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주로 금융권이나 대기업에서 도입되며, 책임 경영리스크 관리의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 기업이 지급한 성과급이나 보상을 일정 조건 하에 회수할 수 있는 제도

유사 표현: 성과급 환수, 보너스 회수, 책임보상제

관련 신조어: ESG, 윤리경영, 내부통제 강화


2. 클로백(Clawback) 유래

 

"클로백"이라는 단어는 영어의 ‘claw(발톱으로 움켜잡다)’와 ‘back(되돌리다)’이 합쳐져 ‘되찾는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2000년대 초 미국의 회계 스캔들 이후 신뢰 회복을 위해 금융기관과 기업에서 적극 도입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된 제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금융권을 중심으로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3. 클로백(Clawback) 예시

 

클로백 제도는 보상을 받은 임원이 이후 부정행위나 경영 실패 등으로 회사에 손해를 끼쳤을 때, 이미 받은 성과급을 반환하게 합니다. 이는 경영진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 윤리적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회계 부정이 밝혀지면서 CEO의 보너스 전액이 클로백 조항에 따라 회수되었다."

 "금융권에서는 이제 클로백이 기본적인 경영 윤리 기준이 되었어요."

 "성과급 받은 후 대형 손실이 나서 결국 클로백 당함..."

 


4. 클로백(Clawback) 한자 및 영어 표현

 

클로백은 영어 표현으로, 한자 표현은 존재하지 않지만 의미적으로는 ‘성과금 환수(回收)’ 또는 ‘책임보상’으로 해석됩니다. 영어에서는 “clawback provision” 또는 “compensation recovery policy” 등의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한자 표현: 성과급 환수(成果給 回收), 책임보상(責任補償)

영어 표현: clawback policy, clawback clause, compensation recovery


"클로백"은 투명하고 책임 있는 경영을 위한 장치로, 앞으로도 기업 윤리와 신뢰 회복의 중요한 기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